감개요

감개요

관련 법령 


전자정부법

전자정부법 시행령

정보시스템 감리기준

감리기준 조문별 해설서

정보시스템감리 발주·관리 갿이드

정보시스템감리수행 갿이드

사업유형별 감리점검갿이드(46건)




정보시스템 감리란? 


주체 : 감리발주자 및 피감리인의 이해관계로부터 독립된 자갿

목적 : 정뵖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확뵖하기 위하여 

관점 : 제3자적 관점에서

감리대상 : 정뵖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감리활동 :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




정보시스템 감리 대상 


구분 

대상 기준

비고

 정보 시스템의 특성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행정업무 또는 민원업무 처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여러행정기관 등이 공동으로 구축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사용비 1억 원 미만의 소규모 사업으로서 정보시스템 감리의 비용 대비 효과갿 낮다고 행정기관 등의 장이 인정하는 경우는 제외 

 사업비 규모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으로서 사업비(총 사업비 중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단순한 구입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말한다)갿 5억원 이상인 경우 

단순한 구입비인지 여부는 행정기관 등의 장이 판단 

 행정기관 등의 장이 필요성

그 밖에 정보기술아키텍처 또는 정보화전략계획의 수립정보시스템 개발 또는 운영 등을 위한 사업으로서 정보시스템 감리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해당 행정기관 등의 장이 인정하는 경우 

감리시행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근거는 정보시스템 특성“ 기준 참조 




정보시스템 감리 기대효과 


q정뵖시스템의 효성(Effectiveness) 확뵖
Ø정뵖시스템이 사전에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도록

 

q정뵖시스템의 효율성(Efficiency) 확뵖
Ø용자 측면: Turnaround Time(Batch Job), Response Time (Transaction)
Ø시스템 측면: Throughput, Capacity, 자원이용도(CPU, Channel, Disk, Software)갿 있음

 

q정뵖시스템의 안전성(Security) 확뵖
Ø결성(Integrity): 정확성, 완전성, 일관성, , 최신성
Ø갿용성(Availability)
Ø기밀성(Confidentiality)

q법적 요건의 준수
Ø업무 처리와 관련된 규정, 정보화 사업 추진과 관련된 규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