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감수행참고자료] CBD 방법론 기반 개발사업에 대한 감리지침 연구(2003.12)

괿리자
2022.01.20 11:59 1,789 0
  • - 첨부파일 : CBD_방법론_기반_개발사업에_댿한_감짿침_연구_(최종보고서)_2003.zip (909.6K) - 다운로드

1. 제 목

  "CBD 방법론 기반 개발사업에 대한 감리지침 연구"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컴포넌트 기반 개발은 높은 생산성과 뛰어난 재사용 능력 강화로 인해 최근 국내 개발 방법론의 새로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 공공정보화 사업에서 컴포넌트 기반 개발 사업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컴포넌트 기반 정보시스템의 안전성, 효율성,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감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CBD 개발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반면, CBD 개발의 감리지침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을 적용한 개발사업에 대한 감리지침의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과제에서는 CBD 방법론 기반 개발사업의 감리지침을 개발하여 향후 CBD 방법론 기반 개발사업에 대한 감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CBD감리 지침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1)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

    가.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 개요

    나.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의 비교

    다. 국내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 적용현황

  2) CBD 프로세스 감리지침

    가. CBD 프로세스 표준모형

    나. CBD 프로세스에서의 공정 별 감리지침

    다. RUP를 적용한 프로젝트의 감리를 위한 표준모형의 활용

  3) CBD 산출물 감리지침

    가. CBD 개발산출물 표준의 비교

    나. 개발산출물의 커스터마이징 지침

    다. 산출물별 품질점검표

 

4. 연 구 결 과

  본 보고서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의 등장배경 및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고,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CBD 방법론인 마르미-III, RUP, Innovator, PPC를 조사하고 분석하였고 각 방법론의 적용 현황을 제시하였다.

  CBD 방법론에 따라 정의하는 활동이나 기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마르미-III를 중심으로 개발 프로세스와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를 나누어서 정의하였으며 CBD 표준 프로세스 모형과 단계, 활동, 작업과 각 작업에 대한 정의와 감리점검항목 및 그에 따른 감리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감리점검항목과 감리지침을 바탕으로 개발프로세스에 대한 감리점검표를 작성하였다. 또한 표준 CBD 프로세스를 사용하지 않는 프로젝트를 감리하기 위하여 CBD 프로세스의 적정성 점검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의한 표준 CBD 모형의 산출물과 관리기법/1의 C/S 개발경로의 산출물을 매핑하였다. 많은 공공 프로젝트의 감리가 관리기법/1에 따라 진행되었기 때문에 관리기법/1기반의감리기준을 컴포넌트 기반 개발 감리기준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관리기법/1과 CBD 표준모형의 산출물 매핑이 필요하다. 또한 프로젝트의 규모, 성격에 따라 표준 프로세스의 산출물을 커스터마이징 하기 위한 지침과 산출물의 감리점검표를 제시하였다.

  많은 개발 프로젝트들이 반복적인 프로세스에 따라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반복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지침과 감리를 위한 지침이 필요하다. 부록 A에서는 반복적 개발에 대한 지침을 정리하였고, 감리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반복 개발에서의 감리 수행에 대한 예를 보였다.

 

5. 활용에 대한 건의

  CBD 방법론 기반 개발사업에 대한 감리지침은 CBD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서 구현하여야 할 시스템에 대하여 개발 및 프로젝트관리 공정에서 각 단계의 활동별로 적정성을 감리인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CBD 방법론 기반 개발에 대한 적정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할 때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정보화 사업의 개발과정에서 CBD 방법론 기반의 시스템 구현 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독자적으로 CBD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경우에도 적용하여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 개발생명주기를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개발기관에서 반복 계획을 수립하는데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감리인이 반복적 개발생명주기를 적용하는 프로젝트에 대하여 감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감리의 시점을 결정하고, 프로젝트의 적정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6. 기 대 효 과

  CBD 방법론 기반 개발사업에 대한 감리지침은 향후 국내 공공분야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 및 대형 프로젝트에서 CBD방법론의 적용을 활성화시켜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기술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CBD 방법론 기반 개발 프로젝트의 감리품질을 높여 대형 사업관리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아울러 CBD감리의 활성화, 반복적 개발생명주기를 고려한 상시 감리의 활성화, 컴포넌트 기반의 전산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감리기법의 개발, 새로운 개발환경을 고려한 대형사업관리 및 감리 등의 정책 대안 제시를 원활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