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감수행참고자료] 정보시스템 감리 효과에 관한 연구(2002.12)

괿리자
2022.01.20 11:57 1,589 0
  • - 첨부파일 : 감리효과성연구 (1).doc (269.0K) - 다운로드

1. 제목

정보시스템 감리 효과에 관한 연구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정보시스템 감리가 활발해지면서 감리기법에 대한 연구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보시스템 효과에 관한 분석의 틀이 아직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고 정보시스템 효과 또한 명확하게 측정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정보시스템 감리에 관한 일반의 인식을 보다 더 확산시키고 정보시스템 감리에 투자되는 자원에 대한 타당화를 도모하며 제도화를 위한 이론적인 기초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정보시스템 감리효과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크게 정보시스템 감리에 대한 실태 조사와 정보시스템 감리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첫번째, 감리와 유사한 활동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정보시스템 감리의 개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두 번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국내외에서 실시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본다. 세 번째, 국내의 정보시스템 감리에 대한 인지도 등 감리실태를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감리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여 공공부문의 정보화 사업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여 감리의 역할 정립과 향후 효과적인 감리를 위해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도출한다.

 

4. 연구결과

정보시스템 감리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공공부문의 정보화 사업 중 56%의 사업이 감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감리에 대한 인지도도 설문응답자 중 92%가 인지하고 있어 공공부문 정보화 사업의 경우 감리가 활성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화 사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감리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감리를 실시할 경우 감리를 실시하지 않은 사업에 비하여 사업관리와 시스템의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감리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정보시스템 감리에 불만족하는 비율이 8%로 낮은 편이지만 만족하는 비율 또한 50.6%로 높은 수준이 아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감리인 양성, 감리비 예산항목인정, 법적의무화가 보완되어야 할 항목으로 도출되었으므로 향후 이러한 항목에 대한 보완을 통해 감리 수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5. 기대효과

현재 국내의 정보시스템 감리는 초기단계를 벗어나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리에 대한 단순 기술적 연구보다는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감리에 대한 실태와 감리 효과에 대한 관련당사자의 인지도를 조사하여 정보시스템 감리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정보시스템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는, 정보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운영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감리가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해주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정보시스템 감리의 제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