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행참고자료] 정보화 성과관리 연구(1997.12)
-
- 첨부파일 : 정뵖화성과관리연구.hwp (405.4K) - 다운로드
본
1. 제목 : 정보화 성과관리 연구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본 과제의 연구목적은 정보화 성과관리의 개념적 틀을 체계화하고, 정보화 성과척도 및 측정방법, 그리고 정보화 성과 계획 및 평가에 대한 접근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효과적인 정보화 성과관리를 위한 성과측정 및 정보관리는 매우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다. 정보화 성과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사업중심의 전략계획을 수립해서 정보기술투자에 대해서 결과중심의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보기술예산에 대한 명확한 관리책임이 확립되고,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서의 강력한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아울러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정보화 성과계획, 정보화 성과측정, 정보화 성과평가 3분야로 구분된다. 제1장 서론에는 연구의 목적, 필요성, 적용대상 및 범위가 기술되어 있다. 제2장 정보화 성과관리체계에서는 기존연구, 정보화 성과관리체계, 정보화 성과관리를 위한 접근방법(Balanced Scorecard, Benchmarking, 계약 접근방법, 성과예산 등)이 제시되어 있다. 제3장 정보화 성과계획에서는 정보화 성과계획의 개념과 구성요소, 정보화 성과계획의 절차(정보화 성과목표와 전략의 설정 -> 정보화 성과측정척도의 개발 -> 부서별 정보화 성과 프로그램의 개발 -> 부서별 정보화 성과 프로그램의 실행준비), 정보화 성과계획을 위한 접근방법(타당성 분석과 비용/편익 분석)이 기술되어 있다. 제4장 정보화 성과측정에서는 성과측정의 개념/체계/, 정보화 성과측정의 척도/방법/생명주기과정, 조직에 대한
정보화 성과측정(정보생산성의 측정, 정보기술비용, 지식자본, 관리생산성의 측정)이 기술되어 있다. 제5장 정보화 성과평가에서는 성과평가의 개념과 절차, 정보화 성과평가의 기준과 체계, 그리고 정보화 성과감리의 개념, 형태 및 기본구조가 기술되어 있다. 제6장 적용사례에서는 미 행정부와 국방부의 사례가 제시되어 있다. 제7장에는 연구의 요약, 적용,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기술되어 있다.
4. 참여연구원
연 구 책 임 자 : 문 대원 (감리본부, 본부장)
김 기윤 (광운대학교 경영학과)
과제관리책임자 : 정 국환 (정보화연구실, 실장)
참 여 연 구 원 : 신 동익 (감리본부, 책임연구원)
나 종회 (감리본부, 주임연구원)
김 도형 (광운대학교, 경영학과)
최 광돈 ( (주) 선정보기술)
송 민중 (경민전문대학)
5. 발행연월일
1997.12
댓글목록 0